728x90
반응형
요즘 투잡이 대세인데요. 소액이지만 년 400만원 수준의 사업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근로소득이 없는 전업주부에게 잡는 것이 유리할지 연봉 7,500만원 수준의 남편에게 합산하는 것이 유리할지 세금 측면에서 분석해보겠습니다. 500만원을 초과하면 건강보험료 이슈가 발생하기 때문에 400만원으로 책정해 봤습니다.
- 아내에게 사업소득을 잡는 경우
- 연 소득: 400만원 (사업소득)
- 필요경비율: 사업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, 일반적으로 40~60% 적용
- 세금 계산:
- 총수입 400만원
- 필요경비 적용 후 과세표준: 160만원~240만원
- 6백만원 이하 구간으로 6% 세율 적용
- 산출세액: 약 9.6만원~14.4만원
- 기본공제 150만원, 표준공제 등 적용 가능
- 실제 납부세액은 거의 없거나 매우 적음
- 남편에게 사업소득을 잡는 경우
- 기존 급여소득: 7,500만원
- 추가 사업소득: 400만원
- 합산 과세소득: 7,900만원
- 세금 계산:
- 급여소득 근로소득공제 후 과세표준에 추가로 사업소득 합산
- 7,200만원~1.2억원 구간으로 40% 세율 적용
- 추가되는 400만원에 대해 40% 세율로 계산
- 약 160만원의 추가 세금 발생
결론: 아내에게 사업소득을 잡는 것이 훨씬 유리
이유:
- 아내는 별도의 소득이 없어 기본공제와 표준공제를 온전히 활용 가능
- 낮은 세율(6%) 구간에서 과세
- 남편의 경우 이미 높은 세율(40%) 구간에 있어 추가 소득에 대한 세부담이 큼
- 가구 전체의 종합소득 분산 효과
따라서 세금 측면에서는 소득이 없는 아내에게 사업소득을 잡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.
728x90
반응형
'경제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TX 개통으로 인한 수혜 지역 및 호재 아파트 분석 (0) | 2025.01.14 |
---|---|
50세 은퇴하려면 얼마를 벌어야 할까 (0) | 2025.01.13 |
국민연금 고갈로 예상하는 수령 못하는 나이는? (0) | 2025.01.13 |
더 오를 수 있을까, GTP가 예상하는 2025년 금 시세 전망 (0) | 2025.01.12 |
대한민국 20대 평균 급여 및 1억 모으는데 걸리는 예상 시간 (0) | 2025.01.12 |